top of page

Artist Statement-원종임 Jongim Won

'드로잉을 통한 내면 공간의 탐구'
Search for the Inner Space through Drawing

작가에게 그리는 행위는 무엇을 표현하고 완성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체험된 대상과의 교감을 전달하기 위한 몸짓이며, 내재된 진리를 발견하기 위한 시도의 흔적이다. 몸이 화면과 부딪혀 드러난 표현들은 모두가 작가의 감정을 안고 있으며 그것에 의해 이루어진 공간은 자신을 담아내게 된다. 이것은 단순한 점과 선에 의해 구성된 2, 3차원의 공간을 넘어서서 그 이상의 무엇을 갖고 있는, 모순되면서도 사유적인 공간으로 다가온다. 화면은 눈에 보여지는 실재적인 공간이라기보다는 공간 너머 異面의 세계를 표출하는 개인적인 소통의 공간이 된다.
작가는 내면의 가장 순수한 본질을 드러내는 것은 ‘그린다'라는 행위를 통한 생동감 넘치는 화면이라고 보며 이러한 드로잉적인 태도와 함께 긋기, 칠하기, 붙이기, 뚫기 등 종이에 가해지는 다양한 방법들을 이용하여 화면이 포함할 수 있는 모든 감정적인 가능성을 열어두고 그 안에서 자유로이 사고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자신 내부의 숨겨진 요소를 화면으로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화면은 유희하고 사유하는 私的 공간으로써 본인 내면의 한 부분을 담아내게 된다.

The drawings as dots or lines, is not for expressing and completing something, but for conveying the sympathy with the experienced subject. And this gesture is to leave a trace of the attempt to find out the immanent truth. All the marks, left behind as a result of the contact between body and canvas, bear my emotions, by which a space is created to incorporate the ego. This space comes up as a contradictory and cogitable one, which is above and beyond those with two or three dimensions, made of mere dots and lines. So, the canvas turns out to be a personal space of communication that manifests the inside sphere rather than a visible actual space The place where the purest nature of the inside represents itself is considered a canvas full of vigor via the act of 'drawing.' Along with the drawing oriented attitude like this, all emotional possibilities made to remain open on the canvas, by way of marking, painting, pasting, holing, etc., so that the free thinking is feasible in it Through this process, the elements, lurking inside, are to be taken out on the canvas. Thus, the canvas, as a private space of playing and musing, proved to represent a fragment of the internal self.

bottom of page